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무주국유림관리소와 함께 추진한 구상나무 현지외 보존원 조성 사업이 묘목 생존율 96%를 기록하며 초기 활착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6일, 2022년부터 무주군 일대에 조성한 1,591그루 규모의 보존지에서 3년간 모니터링한 결과 구상나무의 생존율과 생장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상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 고산지대에만 자생하는 특산수종으로,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자생지가 급격히 줄면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과학적 대응이 꾸준히 요구되어 왔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묘목의 DNA 정보를 기반으로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를 멀리 배치하는 ‘DNA 최적 배치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미래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건강한 개체군 형성을 목표로 했다.
성과도 뚜렷하다. 1년차 대비 3년차 생장량이 약 10배 증가하는 등 안정적인 생육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적절한 입지 선정과 건강한 묘목 사용, 체계적인 관리의 결과로 분석된다.
국립산림과학원 고산침엽수 유전다양성복원연구센터 임효인 박사는 “무주 현지외 보존원이 앞으로 기후변화에도 안정적인 복원재료 공급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현장 설명회 등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기후변화 대응형 수종 보전 전략의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유전자원 보전과 생태계 회복을 위한 연구를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