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2(화)
 
1.jpg
▲ 이 보고서에서는 가장 큰 위기에 처한 국가들의 기후 복원력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자원을 확보하는 데 투자 이주가 열쇠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사진=Henley & Partners]

 

기후 취약국 포럼(CVF)과 글로벌 투자 컨설팅 기업 헨리 앤드 파트너스(Henley & Partners)가 공동으로 기후 금융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긴급한 기후 행동을 위한 자금이 충분히 조달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 이주 프로그램이 기후 취약국의 복원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CVF는 전 세계 70개 기후 취약국이 모인 국제 조직으로, 전 세계 인구의 20%에 해당하는 17억5000만 명을 대표한다. 해당 국가들의 탄소 배출량은 전 세계의 6%에 불과하지만, 기후 변화의 영향은 가장 심각하게 받고 있다. 기후 행동과 개발, 자연 보존을 위해 2030년까지 매년 약 5000억 달러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CVF 사무총장인 모하메드 나시드 전 몰디브 대통령은 이번 보고서에서 "부유한 국가들의 기후 금융 지원이 지연되는 동안 기후 취약국들은 생존을 위한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며 "선진국의 자선에만 의존할 수 없으며,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금융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후 복원력 강화를 위한 투자 이주 프로그램


헨리 앤드 파트너스는 투자 기반 영주권 및 시민권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국가의 해외 직접 투자(FDI)를 성사시켜 왔다. 최근에는 최초의 기후 관련 시민권 투자 프로그램인 나우루 경제 및 기후 복원력 시민권 프로그램을 수립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데이비드 W.R. 아뎅 나우루 대통령은 "이 프로그램은 해안선 보강, 수자원 관리 현대화,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 등 주요 회복 이니셔티브에 자금을 지원한다"며 "해수면 상승을 대비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 국제적인 기후 복원력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 금융 격차 해소 위한 민간 자본 활용


UN에 따르면 군소 도서개발국(SIDS)은 지난 50년 동안 글로벌 탄소 배출량의 1% 미만을 차지했지만, 기후 관련 피해는 1530억 달러에 달했다. 또한 기후 적응을 위한 재정 격차는 340억 달러에 이르며, 이로 인해 해당 국가들의 재정 부담이 악화되고 있다.


헨리 앤드 파트너스의 CEO 유르그 스테펜 박사는 "국제 투자를 동원하면 부채 없이 기후 복원력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며 "기후 금융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투자 이주 프로그램을 통한 지속 가능한 금융 솔루션


이번 보고서는 투자 이주 프로그램을 투자 이민 회복력 펀드(IMRF)로 구조화하여 민간 자본을 기후 복원력 프로그램으로 유입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국가 부채를 늘리지 않고도 지속 가능한 수입을 창출할 수 있으며, 해안선 보호, 탄소 상쇄, 청색 경제 확장 등 다양한 기후 복원력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다.


CVF의 매니징 디렉터 사라 제인 아메드는 "기후 취약국은 단순한 인내와 적응을 요구받아왔다"며 "이제는 적극적인 기후 금융 지원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열고 경제를 강화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

  • 8029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후 취약국 포럼, 획기적인 기후 금융 보고서 발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